[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5-13 16:37 조회15회관련링크
본문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양상환 네이버 D2SF 센터장 /사진=네이버 제공"대부분의 CVC(기업형 벤처캐피탈)는 모기업에 전략적 기여를 목표로 시작하지만 결국 재무투자 형태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네이버 D2SF는 인하우스(내부)에서 시작했기 때문에 재정적 압박에서 자유로워 장기적 관점의 전략적 투자가 가능하다."양상환 네이버 D2SF 센터장은 13일 열린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에서 "국내 CVC들은 주로 투자법인이나 투자 자회사 형태로 운영돼 재정적 자립에 대한 압박이 크다. 재무 투자로의 전환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2015년 5월 출범한 네이버 D2SF는 CVC 성격을 가진 내부 조직이다. 초기 단계 기술 스타트업에 집중 투자해 성장을 돕고, 네이버의 다양한 사업과 시너지를 창출하는 데 주력한다. 이날 행사는 네이버 D2SF 출범 10주년을 기념해 개최됐다. 네이버 D2SF는 10년간 115개 스타트업에 투자했으며, 투자의 99%가 초기 단계(시드·시리즈A)에 집중됐다. 포트폴리오의 생존율은 96%에 달한다. 이들의 누적 기업가치는 5조2000억으로, 2021년 6주년 때 추산했던 1조3000억원(70개사)에서 4배 늘었다. 투자 기업의 기술 분야는 AI(인공지능)이 절반 이상(54%)을 차지한다. 로보틱스, 모빌리티, 블록체인, 3D 등의 기술 분야에도 적극 투자해 왔다. 네이버와 구체적인 협업 아젠다를 발굴한 스타트업의 비율은 64% 수준이다. 양상환 네이버 D2SF 센터장 /사진=네이버 제공양상환 센터장은 "네이버 D2SF의 중요한 3가지 원칙이 있다. 첫 번째는 시장을 만드는 초기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성향이 강하다는 것"이라며 "당장 협력 접점이 없어도 우수한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비중이 높다는 게 다른 CVC와의 차별점"이라고 했다. 양 센터장은 대표적인 사례로 △AI 반도체 칩을 설계한 '퓨리오사AI' △로봇 SW 기업 최초 상장사인 '클로봇' △AI 데이터 플랫폼 최초로 상장한 '크라우드웍스' 등을 꼽았다. 네이버 D2SF는 투자 이후에도 입주 공간과 클라우드 인프라 제공, PR·마케팅 등 다양한 밸[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양상환 네이버 D2SF 센터장 /사진=네이버 제공"대부분의 CVC(기업형 벤처캐피탈)는 모기업에 전략적 기여를 목표로 시작하지만 결국 재무투자 형태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네이버 D2SF는 인하우스(내부)에서 시작했기 때문에 재정적 압박에서 자유로워 장기적 관점의 전략적 투자가 가능하다."양상환 네이버 D2SF 센터장은 13일 열린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에서 "국내 CVC들은 주로 투자법인이나 투자 자회사 형태로 운영돼 재정적 자립에 대한 압박이 크다. 재무 투자로의 전환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2015년 5월 출범한 네이버 D2SF는 CVC 성격을 가진 내부 조직이다. 초기 단계 기술 스타트업에 집중 투자해 성장을 돕고, 네이버의 다양한 사업과 시너지를 창출하는 데 주력한다. 이날 행사는 네이버 D2SF 출범 10주년을 기념해 개최됐다. 네이버 D2SF는 10년간 115개 스타트업에 투자했으며, 투자의 99%가 초기 단계(시드·시리즈A)에 집중됐다. 포트폴리오의 생존율은 96%에 달한다. 이들의 누적 기업가치는 5조2000억으로, 2021년 6주년 때 추산했던 1조3000억원(70개사)에서 4배 늘었다. 투자 기업의 기술 분야는 AI(인공지능)이 절반 이상(54%)을 차지한다. 로보틱스, 모빌리티, 블록체인, 3D 등의 기술 분야에도 적극 투자해 왔다. 네이버와 구체적인 협업 아젠다를 발굴한 스타트업의 비율은 64% 수준이다. 양상환 네이버 D2SF 센터장 /사진=네이버 제공양상환 센터장은 "네이버 D2SF의 중요한 3가지 원칙이 있다. 첫 번째는 시장을 만드는 초기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성향이 강하다는 것"이라며 "당장 협력 접점이 없어도 우수한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비중이 높다는 게 다른 CVC와의 차별점"이라고 했다. 양 센터장은 대표적인 사례로 △AI 반도체 칩을 설계한 '퓨리오사AI' △로봇 SW 기업 최초 상장사인 '클로봇' △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